올림픽에서 메달 획득을 하는 것이
국위선양 목적도 있지만
메달 수여 및 연금, 포상금도 받아
더욱 가치가 있습니다.
올림픽 연금점수
금메달: 90점
은메달: 70점
동메달: 40점
올림픽 연금
금메달: 월 100만원
(일시금 수령 시 6,720만원)
은메달: 월 75만원
(일시금 수령 시 5,600만원)
동메달: 월 52.5만원
(일시금 수령 시 3,920만원)
올림픽 연금 상한선 - 일시 장려금
월정금은 평가점수 110점
월 연금 100만원을 넘을 수 없다.
110점을 초과하면 나머지 점수는
일시 장려금으로 받을 수 있다.
최민정은 평창동계올림픽 때
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
연금점수 110점을 다 채웠습니다.
따라서, 이번 베이징 올림픽 메달 관련은
일시 장려금으로 받게 됩니다.
올림픽 연금 110점을 초과하는 경우는
10점당 150만원의 일시 장려금을 줍니다.
(올림픽 금메달의 경우 10점당 500만원)
올림픽 포상금
금메달: 6,300만원
은메달: 3,500만원
동메달: 2,500만원
*단체전의 경우 개인전의 75%
최민정 베이징 올림픽 메달
금메달: 1개
은메달: 2개
최민정 올림픽 포상금
1500m 금메달 = 6,300만원
1000m 은메달 = 3,500만원
여자 계주 은메달 = 2,625만원
총 = 1억 2천 425만원
(지급=문화체육관광부)
황대헌 베이징 올림픽 메달
금메달: 1개
은메달: 1개
황대헌 올림픽 포상금
1500m 금메달 = 6,300만원
남자 계주 은메달 = 2,625만원
총= 8,925만원
(지급=문화체육관광부)
올림픽 군대 병역 혜택 - 군면제
금메달: 예술, 체육요원 복무
은메달: 예술, 체육요원 복무
동메달: 예술, 체육요원 복무
메달 미획득 선수, 지도자
연금점수: 없음
연금: 없음
포상금: 300만원
병역 혜택: 없음
대한 빙상경기연맹 포상금 지급
[개인 종목]
금메달: 1억
은메달: 0.5억
동메달: 0.3억
[단체 종목]
금메달: 2억원
은메달: 1.5억
동메달: 1억
(팀 선수별 배분)